본문 바로가기

생활 돈 관리

18세 국민연금 자동가입에 대한 오해와 진실

만 18세가 되면 국민연금에 자동가입 되었다는 통지를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. 아직 직장도 없는데 왜 가입된건지 당황스럽고 돈이 빠져 나가는건 아닌지 걱정 하실 수도 있겠습니다. 이 부분에 대해 오해와 진실 , 정확한 사실만 짚어 드립니다.

 왜 가입 되었다고 통지가 오는걸까?

국민연금법 제 6조에 따라, 만 18세 이상 60세 미만은 국민은 의무가입 대상입니다. 

직장이 없어도 자동으로 지역 가입자로 등록되고 , 국민연금공단에서 모바일 고지서 또는 우편 통지를 발송합니다.

최근에는 모바일 고지서 발송이 확대되면서 , 실제로는 예전부터 있었던 제도를 빠르게 체감 하게 된 것입니다.

그래서 내야하나요 ?

결론부터 말씀 드리면 아닙니다. 고지서가 왔다고 해서 자동이체나 강제 납부 되지 않습니다.

실제로 소득이 없는 상황이라면 납부하지 않아도 되지만 , 미처 신청하지 않으면 체납처리가 됩니다.

쉽게 말해서 내가 소득이 없다는걸 알리고 , 유예를 받아야 한다는 소리입니다. 소득이 없어도 그걸 알리지 않으면 체납으로 처리가 됩니다.

체납이 쌓이면 향후 수령 시 불이익이 생길 수 있으니 , 대응이 필요합니다.

직장이 없고 , 소득도 없다면  납부예외 신청을 하면 됩니다. 신청하면 국민연금 계속 가입자로 유지되며 , 체납 아님으로 처리됩니다.

 

납부예외 신청 방법

📌 국민연금 납부예외 신청은 여기서 할 수 있습니다

👉 납부예외 신청 바로가기

별도의 증빙 자료 없이 , 본인인증만 하면 신청할 수 있습니다.

전화 신청도 가능합니다.

☎ 국민연금공단 고객센터

📞 1355 (유료 / 휴대폰·지역제한 없이 가능)

  • 운영시간: 평일 09:00 ~ 18:00
  • 상담 항목: 납부예외, 체납, 지역가입자 문의 전반

 

자주묻는 질문과 요약

  • 직장도 없는데 왜 국민연금에 가입되죠?

국민 연금법상 만 18세 이상이면 직장유무와 상관없이 의무 가입 대상입니다. 직장이 없어도 '지역가입자(<->직장가입자)'로 등록 되며 고지서가 발송되며 , 이건 기존에도 동일했으나 고지서 시스템이 발달되며 빠르게 체감하는 것입니다.

  • 건강보험료와는 어떤 차이점이 있나요?

두 제도 모두 가입은 자동이지만 직계 가족의 피부양자로 등록 되어 있으면 납부하지 않아도 됩니다.

  • 알바하면 국민연금 내야하나요?

사대보험에 가입되지 않은 프리랜서도(3.3) 70만원 수입 + 1개월 이상 근무 두 가지 조건이 모두 충족되면 납부해야 합니다.

  • 언제부터 국민연금 납부를 시작해야 하나요?

소득이 발생하는 시점부터 국민연금을 내야 합니다.

마무리하며 , 미뤄 두었다가 불이익을 보지 마시고 신청방법과 절차가 까다롭지 않으니 미리 신청 해두어 혜택을 보셨으면 좋겠습니다.